맨위로가기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60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60m는 미국 세인트루이스의 프랜시스 필드에서 개최되었다. 이 경기는 1900년 대회 이후 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열렸으며, 예선, 패자부활전, 결승으로 진행되었다. 아치 한이 7.0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윌리엄 호젠슨이 은메달, 페이 몰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육상 60m -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60m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 시행된 육상 남자 60m는 앨빈 크랜즐린의 금메달 획득과 함께 막을 내렸으며, 1904년 이후 올림픽 종목에서 폐지되었다.
  •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제자리멀리뛰기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제자리멀리뛰기는 세인트루이스에서 개최되어 미국의 레이 유리가 3.47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고, 찰스 킹과 존 빌러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했다.
  •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제자리높이뛰기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제자리높이뛰기는 세인트루이스 프랜시스 필드에서 개최된 제자리높이뛰기 종목의 두 번째 대회로 레이 유리가 우승하며 올림픽 2연패를 달성했고 헝가리가 처음 출전, 총 5명의 선수가 단일 라운드로 진행했다.
  • 올림픽 육상 -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프랑스 파리에서 23개 세부 종목으로 열렸으며, 미국이 금메달 16개를 획득하며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 올림픽 육상 -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올림픽의 육상 종목 경기로, 미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고, 남자 마라톤에서 손기정과 남승룡이 메달을 획득했으며, 다양한 올림픽 기록과 세계 기록이 경신되었다.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60m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남자 60m
대회1904년 하계 올림픽
60m 달리기 결승선 장면
경기장프랜시스 필드
날짜8월 29일
참가 선수12명
참가 국가3개국
우승 기록7.0 OR 육상
이전 대회1900
메달리스트
금메달아키 한
금메달 국가USA
은메달윌리엄 호젠슨
은메달 국가USA
동메달클라이드 블레어
동메달 국가USA

2. 경기장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육상 남자 60m 경기는 미국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프랜시스 필드에서 열렸다.

프랜시스 필드

3. 역사적 배경

이 경기는 1900년에 처음 열렸으며, 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열린 경기였다. 60m는 실내 육상의 주 종목이 되었고, 올림픽에서 열리는 실외 육상에서는 100m가 가장 짧은 단거리 달리기가 되었다. 미국의 조지 포지는 이 경기의 준결승전에 출전하여 올림픽 육상 경기에 참가한 최초의 흑인이었다. 그는 200m 및 400m 허들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육상에서 메달을 딴 최초의 흑인이 되었다.[2]

캐나다는 이 경기에 처음 출전했다. 헝가리미국은 각각 두 번째로 출전했으며, 이 두 국가만이 60m 경기에 모두 출전했다.[2]

3. 1. 대회 이전

이 경기는 1900년에 처음 열렸으며, 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열린 경기였다. 60m는 실내 육상의 주 종목이 되었고, 올림픽에서 열리는 실외 육상에서는 100m가 가장 짧은 단거리 달리기가 되었다. 1900년 출전 선수 중 재참가한 선수는 없었다. 주요 우승 후보로는 1903년 AAU 100m 챔피언 아치 한, 1904년 AAU 100m 챔피언 로슨 로버트슨, 1903년 IC4A 100m 챔피언 페이 몰턴, 1904년 IC4A 100m 준우승자 너새니얼 카트멜 등이 거론되었다.[2]

3. 2. 참가국

캐나다는 이 경기에 처음 출전하였다. 헝가리미국은 각각 두 번째로 출전했으며, 이 두 국가만이 60m 경기에 모두 출전하였다.[2]

4. 경기 방식

경기는 예선, 패자부활전, 결승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4개의 예선 조에서 각 조 1위 선수가 결승에 직행했다. 각 예선 조 2위 선수들은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 패자부활전에서 상위 2명의 선수가 결승에 진출했다.[2]

5. 경기 일정

날짜시간라운드
1904년 8월 29일 (월요일)준결승
패자부활전
결승


6. 경기 결과

각 조 1위는 결승에 진출하고, 2위는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1]

순위선수기록비고
1조1클라이드 블레어7.0QF, OR
2마이어 프린슈타인QR
3-4윌리엄 헌터
3-4조지 포지
2조1윌리엄 호젠슨7.0QF, OR
2프랭크 캐슬먼QR
3조1아키 한7.2QF
2보디 케르QR
3로슨 로버트슨
4메조 벨러
4조1페이 물턴7.2QF
2너데니얼 카트멀QR



패자부활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순위선수기록비고
1프랭크 캐슬먼7.2결승 진출
2마이어 프린슈타인7.2결승 진출
3-4너데니얼 카트멀
3-4보디 케르



결승에서는 아키 한이 7.0초의 올림픽 타이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윌리엄 호젠슨은 7.2초로 은메달, 페이 물턴은 7.2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순위선수기록비고
1아키 한7.0OR
2윌리엄 호젠슨7.2
3페이 물턴7.2
4클라이드 블레어7.2
5마이어 프린슈타인
6프랭크 캐슬먼


6. 1. 예선

각 조 1위는 결승에 진출하고, 2위는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1]

순위선수기록비고
1조1클라이드 블레어7.0QF, OR
2마이어 프린슈타인QR
3-4윌리엄 헌터
3-4조지 포지
2조1윌리엄 호젠슨7.0QF, OR
2프랭크 캐슬먼QR
3조1아키 한7.2QF
2보디 케르QR
3로슨 로버트슨
4메조 벨러
4조1페이 물턴7.2QF
2너데니얼 카트멀QR


6. 1. 1. 예선 1조

Clyde Blair영어(클라이드 블레어)가 7.0초의 올림픽 타이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며 결승에 진출했다.[1] Myer Prinstein영어(마이어 프린슈타인)은 2위로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1] 윌리엄 헌터와 George Poage영어(조지 포지)는 3-4위를 기록했다.[1]

순위선수기록비고
1클라이드 블레어7.0QF, OR
2마이어 프린슈타인QR
3-4윌리엄 헌터
3-4조지 포지


6. 1. 2. 예선 2조

William Hogenson영어(윌리엄 호젠슨)(USA|미국영어)이 7.0초의 올림픽 타이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며 결승에 진출했다.[1] Frank Castleman영어(프랭크 캐슬먼)(USA|미국영어)이 2위로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1]

순위선수국가기록비고
1윌리엄 호젠슨7.0QF OR
2프랭크 캐슬먼QR


6. 1. 3. 예선 3조

순위선수기록비고
1아키 한7.2QF
2보디 케르QR
3로슨 로버트슨
4메조 벨러



아키 한(Archie Hahn영어)이 7.2초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보디 케르(Bodee Kerr영어)는 2위로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

6. 1. 4. 예선 4조

순위선수기록비고
1페이 물턴QF
2너데니얼 카트멀QR



페이 물턴은 7.2초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며 결승에 진출했고, 너데니얼 카트멀은 2위로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1]

6. 2. 패자부활전

프랭크 캐슬먼과 마이어 프린슈타인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결승에 진출했다.[1]

순위선수기록비고
1프랭크 캐슬먼7.2결승 진출
2마이어 프린슈타인7.2결승 진출
3-4너데니얼 카트멀
3-4보디 케르

[1]

6. 3. 결승

아키 한(미국)은 7.0초의 올림픽 타이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윌리엄 호젠슨(미국)은 7.2초로 은메달, 페이 물턴(미국)은 7.2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순위선수기록비고
1아키 한7.0OR
2윌리엄 호젠슨7.2
3페이 물턴7.2
4클라이드 블레어7.2
5마이어 프린슈타인
6프랭크 캐슬먼


7. 메달리스트

순위선수국가기록
아키 한7.0
윌리엄 호젠슨7.2
페이 물턴7.2


8. 기록

1904년 하계 올림픽 이전의 세계 기록은 없었으며, 올림픽 기록은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60m 경기에서 앨빈 크렌즐린이 세운 7.0초였다.[1] 클라이드 블레어, 윌리엄 호젠슨, 아치 한이 7.0초로 올림픽 타이기록을 세웠다.[2]

8. 1. 올림픽 기록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60m 경기에서 앨빈 크렌즐린(미국)이 프랑스 파리에서 1900년 7월 15일에 7.0초로 올림픽 기록을 세웠다.[1]

19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60m 경기에서 클라이드 블레어, 윌리엄 호젠슨, 아키 한(이상 미국)이 1904년 8월 29일에 7.0초로 올림픽 타이기록을 세웠다.[2]

참조

[1] 웹사이트 Athletics at the 1904 Summer Olympics http://www.olympedia[...] 2021-09-03
[2] 웹사이트 60 metres, Men https://www.olympedi[...] 2020-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